attachEvent , addEventListener

어떤 객체의 이벤트 발생시에 함수를 정의하기 위해
우리는 attachEvent(IE),addEventListener(Mozilla) 를 사용해왔습니다.
데이타를 정리하던중
각브라우저의 지원 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IE 와 opera는 attachEvent 를
Fx 와 Safari 는 addEventListener를 지원하드라구요

또한 IE 는 이벤트의 형식을 on + 이벤트(ex: mousedown)만을 지원하고
Opera 는 이벤트와, on+이벤트 모두를 지원합니다.
Fx 와 Safari 는 이벤트만 지원하네요 =_=;;;;;;;;;
그러므로 속편하게 attachEvent 일때는 on+이벤트를 사용하고 ,
addEventListener 일때는 그냥 이벤트명을 사용 하시면 될것 같아요.

그리고 addEventListener 는 return 값이 존재 해야합니다.

냐하 즐거운 브라우저의 차이 찾기~
계속됩니다 -_-;

Browser Statistics

일을 이것 저것 하다가 브라우저 점유율까지 알아보게 되었는데
뭐 뻔하지만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일단 onestat.com의 두번의 리서칭을 보면 2006월 5월15일의 뉴스 에서 보다 2007년 7월2일의 뉴스 를 비교해볼때 FF의 성장률이 꾸준이 늘어나고 있고 IE가 조금씩 사용자 층을 빼앗겨 가는것 같은 느낌을 보입니다. 그러나 좀 자세히 보면 오페라나 넷츠케이프 네비게이터 , 사파리등도 성장률이 극히 낮거나 하락세를 보일 만큼 점유율의 성장이 더딘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나저나 독일 호주의 파이어폭스 점유율은 굉장하군요! 25퍼센트라니…
한편으로 대표적인 web tutorial site인 W3 Schools브라우저 통계를 보면 좀 더 재미있습니다.(자기 사이트의 로그이겠죠;? ) 파이어폭스의 점유율은 2005년 5월 이후로 떨어진 적이 단한번도 없고 2007년 7월의 경우 34.5%의 점유율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onstat.com의 11.69%와 w3 schools의 34.5%는 좀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요. 아무래도 웹 전문 인력들이 많이 찾는 w3 schools 에 FF 점유율은 대단하다고 봅니다.

그럼 넥슨의 파이어폭스 점유율은 얼마나 될까 고민해봤습니다. 일단 사이트 이용에 불편한 점이 많으니 제생각에는 0%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제 사이트의 방문 로그를 봤을때도 비IE 의 점유율은 50% 가까이 되고있습니다.
FF에서 더 잘보인다고 하는(정말?) 미투데이 를 보면 (미투를 통해 FF를 알게 되었다 라는 분도 많이 봤습니다.)의 통계를 보면 또 점유율이 다르게 나오겠죠?

왜 사이트 마다 점유율이 다르게 나올까 생각을 해봤는데뭐 오래 전부터 나온 얘기인 사이트의 크로스 브라우징 지원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마케팅의 원리에서 점유율 몇 퍼센트를 최소한의 타게팅으로 삼는지는 모르겠지만 사용자를 조금이라도 늘려 보려는 별짓 다하는 한국의 웹 종사자들에게는 FF 또는 비IE의 사용자들은 큰 매리트가 아닐까 합니다. 외국에 진출하려는 경우는 더하겠네요~_~

커밍수우우운! Standard Magazine!

스탠다드 매거진
웹 표준을 사랑하고 지키려는 사람들의 최고의 놀이터가 되고픈 CSS Design Korea 에서 이번에는 웹진으로 여러분께 다가가려 합니다.

웹진에서는 웹표준을 지키려하는사람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고민이나 생각들과 여러가지 웹 표준에 관련된 소식등 다양한 주제를 담아 내려고 합니다.

스탠다드 매거진은 어려운 이야기 보다는 자세한 이야기를 풀어가려고 합니다. 누구나 다 알것 같은데 잘 모르겠다 생각해서 물어보지 못하는 내용이나 어설프게 아는것같은데~ 하는것 들 그리고 CDK의 소식이나 기타 소식들 웹진의 내용들을 보면서 누구나 한번쯤은 “음~~ 그래 이런건가?” 또는 “음 ~이런건?” 하는 생각 할 수 있는 그런 내용들을 담을수 있는 그런 작은 웹진이 되고자 합니다.

현재 CDK의 포럼은 기술적으로 편중되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나쁘진 않은것 같습니다만~) 글들이 너무 많고 찾아보기 힘들다는 의견도 있었고, 지레 겁먹고 접근이 어렵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쉽지만 한번쯤 생각해 볼만한 그리고 즐거운 마음으로 볼수있는 그런 웹진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누구나 웹진의 필자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소통을 가능하게 준비중에 있습니다.(응?)

스탠다드 매거진이 웹표준의 힘찬 발걸음에 에어가 빵빵한 시원한 운동화의 구실을 했으면합니다.

자 모두들 신청하러 갑시다..

parseInt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바꾸기 위해서 우리는 parseInt 라는 것을 사용한다.

근데 이놈이 문자열이 앞에 0이 붙어 있으면 ex) var a =”06″;
이 문자를 8진수형태의 값으로 인식한다고 한다
그래서 “07”은 7이 되지만 “08”은 0이 리턴된다.

이걸 방지하기 위해서는 parseInt(“08”,10) 이라고 radix를 추가해줘야 한다.
뭐 16진수는 0x 겠네 뭐 -_-;;
아 어렵다;

축구!

총 3골
총 3실점
3경기 연속 pk
이운재 pk 선방 3회
흙;
수고하셨습니다.;;;

오랜만이라 그냥 써보는글임 -_-;;;
베어백이 못한건 아닌것 같은데 왜 그만두는거지??

닥치고 웹 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