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ute의 모든 글

XSLT의 브라우저 호환성

얼마전에 스타크래프트2 사이트가 오페라등 몇몇 브라우저에서 안보이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아는지 모르는지 아직 방치되어 있구요.

근데 XSL은 제가 알기로 opera 에서도 지원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XSL을 공부할때 자주 들려보던 사이트에 브라우저 지원에 대한 얘기가 나왔었거든요.
opera 9부터는 xsl 을 지원한다고 되어있습니다. 8까지는 xml + css 를 지원한다고 되어있구요.
그런데 왜 저 페이지는 안 보였던걸까요?

한번 알아볼겸 스타크래프트2의 도입부 부분을 가져왔습니다.

<?xml version=”1.0″?>
<xsl:stylesheet version=”1.0″ xmlns:xsl=”http://www.w3.org/1999/XSL/Transform”>

xsl:stylesheet 태그는 XSLT 의 최상단 태그로서 HTML 로 치면 HTML 태그와 같다고 보셔도 됩니다.
이곳에서 각 xmlms 선언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미

xmlns:xsl=”http://www.w3.org/1999/XSL/Transform”

우리가 쓰려는것은 대부분 XHTML 형식이니 선언을 해줘야 겠지요:)

그럼 xsl:stylesheet은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끝이 아닙니다.
바로 <xsl:ouput< 가 필요하게 됩니다.
xsl:ouput은 결과물을 컨트롤해주는 태그입니다.

이곳에서 문서의 타입이나 DTD 등등을 선택해줄수 있습니다.

제가 XHTML1.0 transitional 로 사용하는 output 은 이런식입니다.

<xsl:output method=”html” doctype-public=”-//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doctype-system=”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

웬만한 센스가 있으신분들은 보기만해도 딱 감이 오실겁니다.
문서의 타입선언(method)(XHTML 로해봤는데 안되는느낌입니다;;;) DTD 선언과 DTD 파일의 위치를 선언해줍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xsl:stylesheet version=”1.0″ xmlns:xsl=”http://www.w3.org/1999/XSL/Transform” xmlns=”http://www.w3.org/1999/xhtml”>
<xsl:output method=”html” indent=”yes” doctype-public=”-//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doctype-system=”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

이렇게 선언하면 보이지않을까…. 일단생각해보는데
모르죠 뭐 xslt 버전이 안맞아서 안보이는걸지도…
output 의 method의 기본값은 XML 인데 몇가지 예외로 HTML로 기본으로 지정되는때가 있습니다.
바로밑에HTML 태그로 페이지가 시작된다거나… 뭐그런경운데 저는그냥 그런거 상관없이 확실하게 정해주는게 좋으니까요:)

XSLT는 CSS, HTML 의 분리에서 Server Side Program 도 분리를 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가능성을 담고 있다고 봅니다.
XSLT를 안지 오래되진 않았지만 보면서 저는 웹페이지를 더 빛나게 할 수 있는 좋은 기술이 아닐까 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재미있게 하고 있습니다.(일하는거는 별로지만;;;; )

오늘 아침 출근길

미리 말해두지만 오늘 제생일입니다.
[외환은행 예금주 : 홍윤표]로 따듯한 온정의 손길을..
집세를내야하는데 돈이 없어요 ㅜ_ㅡ…

오늘은 생일인데 사치 좀 부려보자 하면서 점심에 먹을 김밥을 사러 집앞 김밥집에가서 저는 자랑스럽게 외쳤습니다.
아줌마 “모듬김밥!”한줄 이요.(생일이니까;예금주:홍윤표)

그런데 오늘 좀 꼼지락 대느라 좀 늦었던 겁니다. 9시전에는 지하철을 타야하는데…

지금시간은 58분;

아 내가 왜 모듬 김밥을 시켰을까… 아줌마는 청년이 잘 먹게 생겼다고 이것저검 진짜 모듬 김밥을 정성스럽게 싸주십니다.
‘아 지각을 할 수는 없는데… 재료는 대충 다 들어간건 같은데… 그만 말아도 될텐데…’
하지만 아줌마는 아랑곳않고 계속 김밥을 정성스럽게 싸고 계십니다.

아 사과 슬라이스도 들어갑니다!! 이미 9시는 넘었고 후…벌금신이 옆에서 자기랑 놀자 합니다..

10분의 사투끝에.. 김밥은 그 힘찬 위용을 드러내었고 저는 지각을 했지요..

“집에 와서 방망이를 내놨더니, 아내는 이쁘게 깎았다고 야단이다. 집에 있 는 것보다 참 좋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전의 것이나 별로 다른 것 같지 가 않았다. 그런데 아내의 설명을 들어 보니, 배가 너무 부르면 옷감을 다 듬다가 치기(한쪽으로 쏠리거나 뭉침)를 잘하고 같은 무게라도 힘이 들며, 배가 너무 안 부르면 다듬 잇살이 펴지지 않고 손에 헤먹기(꼭 맞지 않고 헐거움) 쉽단다. 요렇게 꼭 알맞은 것은 좀체로 만 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응?)..

암튼 대게 크고 맛있어 보입니다.
이건 아니고.. 점심시간에 맛보고 감상을 쓰겠습니다..

웹표준 교과서

하드가 한개 남아서, 노트북용 SATA하드 외장케이스를 구매 했는데, 저는 그것이 도착하기 만을 기다렸습니다. 맥OS가 좀 이상 징후를 보이기도 했고, 마침 레오파드를 구하기도 했으며 백업을 받고 OS를 다시 설치하려면 외장하드가 절실했기 때문입니다.
택배가 왔다는 얘기를 듣고 잽싸게 문서수발실에가서 받아보니 디지털 미디어리서치에서 온 택배였습니다. 지금생각해보니 조훈님께서 제 주소를 물어가신 것이 기억났습니다. 앗싸! 하면서 열라 받아와서 앞 뒤로 둘러보기 시작했습니다.

아 상당히 두껍습니다. 이거 번역하시고 감수하시느라 고생하셨겠다 라는 생각이 우선 듭니다. 우리어렸을대 사실 교과서보다 더많이보던 전과의 느낌도 강렬합니다. (왜 표준전과가 계속 생각나는 걸까요…)

많은 쪽수만큼 내용이 충실합니다. 작업하면서 옆에다 두고 필요할때마다 찾아보는 좋은 교과서의 역할을 할수있을거라고 봅니다.

웹표준을 위한 책이 또 한권 나왔습니다. 책이 계속 나온다는것은 그만큼 필요로 하는사람들이 있다라는 얘기일것이고, 흐름 이라는 것이겠죠.
무엇보다 이런 좋은 책을 번역해주신 김대석님께 감사합니다.
또 한국의 웹표준을 이끌어가시는 웹 표준 프로젝트 분들이 감수까지하셨습니다.
언제나 웹표준을 위해서 열심히 각 분야에서 고생하시는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하다는 얘기를하고 싶습니다~

홈사이트5.0(homesite5.0) 문자인코딩 utf-8 가능하게 하는 방법

저는 한 9년 인가? 를 Homesite 를 사용해왔습니다. homesite3 부터 사용을 해왔는데
이 일을 시작할때 회사에서는 homesite4.52를 사용하더라구요.
자동 태그 완성이라던가 replace 기능등은 저를 단번에 홈사이트 매니아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그만큼 홈사이트의 운명은 바람잘날이 없었죠; Allaire 에서 Macromedia 로 지금은 adobe 제품군에 있지만 저는 홈사이트를 너무 좋아해서 제일 포맷후 제일 처음까는 어플리케이션은 언제나 윈엠프였습니다.(응?)

근데 어느순간 utf-8이라는놈이 나타나면서 homesite는 힘을못쓰게 됩니다. 강력한 툴임에도 불구하고 utf-8를 지원하지않아서 조금씩 에딧 플러스노트패드++ 에 밀려가고 있었는데요.
혹시하는 마음에 뒤져봤더니 사용할 수 있더라구요.
그래서 적어둡니다.
자 시작합시다.
options 에 setting 을 선택
상단 메뉴바중에 options 에 Settings 를 클릭합니다. 홈사이트의 전체적인 설정을 담당하는곳입니다.
그럼 밑에와 같은 설정창이 뜨고
file settings 에 하단 Enable non-ANSI file encording에 체크
file settings를 선택하면 하단에 encording 관련 옵션이 있습니다.
Enable non-ANSI file encording에 체크하면 utf-8 를사용하실수 있구요
Display file encording on the file tabs를 체크하면 지금 수정하는 페이지의 탭에 인코딩이 나오게 됩니다.
파일저장시 Encoding선택
이제 파일 저장을 해봅시다. Encoding옵션이 생겼죠? utf-8 로 선택하고 check the document character set 에 체크는 해제 합시다.(이거 은근히 귀찮아요)

그럼 완료 됩니다!
지원도 없고 업데이트도 없어서 언젠가는 사라질 운명이겠지만 드림위버에서도 홈사이트 방식의 UI를 제공할만큼 홈사이트는 많은 사랑을 받아온것 같습니다. 불편해서 못쓰게 되지 않는 한은 윈도 기반에서 주력 HTML문서용 툴로서는 홈사이트가 최고가 아닐까 해요:)

webappscon

web application conference 2007에 참석하고 있습니다.

저는 우연히 Ajax 와 웹표준 세션의 첫번째 발표를 맡아서 진행후 날탱이로 자원봉사를 했습니다.

이런 큰 행사는 처음이라 많이 떨렸고 준비도 충분이 못해서 많이 아쉬웠습니다. 그래도 어찌어찌 진행한것 같습니다. 하고 나니 많이 졸리네요…
사람들을만나는 것은 언제나 기쁜일입니다

지금은 대기실에서 좀 쉬고있습니다. 조만간 발표자료는 변환해서 올리도록하겠습니다.

발표자료는 http://mydeute.com/txp/files/webappscon_ajax1st_deute.pdf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