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ute의 모든 글

오픈웹 2차원고인단 참가도 실패 ㅜ_ㅡ;

1차 원고 인단은 윈도key를 입력받아서 포기했다가 없어졌다는 소문을 들은후에는 이미 마감….
2차 원고 인단은 잽싸게 신청하고 돈까지 보냈으나… 우편을 보내지못해….
(출력까지해놓고 우체국갈시간이 없어서 ㅜ_ㅡ; 라는 변명만;; )

제가봐도 짜증날만한 저의 게으름에도 불구하고 차곡 차곡 진행되고 있는걸 보면.. 다른 분들의 성실함이 정말 대단하다고 봅니다.

원래 맥북을 사면서 웬만한 개인 자료는 맥북에 거의 옮겨놓는 실정인데 못하고 있는것이 공인 인증서입니다. 맥에는 사용할 수 없거든요.)저는 부트캠프를 거의쓰지않으니 무효;)

http://openweb.or.kr/ 에 가시면 흥미롭고 재미있는 내용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현실이면서 우리가 처하고 행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또한 우리가 해결해야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비스타 대응을 보면서 언제까지 한 나라가 특정OS 가 바뀐다고 호들갑을 떨어야 하는지 브라우저가 패치 된다고 각 기업들이 난리를 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WindowXP sp2가 나올때도 그랬고, Eolas 패치 때도 그랬고, IE7이 나올때도 그랬으며, vista 가 나와도 항상 그때 그때 땜빵하기 바쁜 개발자들의 고민을 덜어주는것은 표준방식의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표준으로 돌아가면 우리나라 웹은 4~5년 후퇴한다는 많은 말들이 있는데…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뿐 더러 앞으로의 백년을위한 밑거름? 정도로 관계자들이 생각했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윈도우기반의 게임을 만드는 회사에서 이런것에 참여 한다는것이 좀 아이러니하기도 하지만, 뭐 제가 참여하고 싶을뿐 이니까요. 안되려나요;;;;?
타 브라우저에서도 사용할수있는 사이트를 만들기 위해 무한 삽질하다가 그냥 생각만 많아지는 날이네요…

News Fire

블로깅을 할때 원래 한RSS 같은 간단한 수고의 Rss Reader 보다는 직접 손으로 주소를 쳐서 들어가서 확인하고 코멘트도 달고 하는걸 사람사는 냄새도 나고 이런다라는 나만의 개똥 철학이 있었는데;
요즘은 바뻐서 블로깅도 거의 하지 못하고(쓰고 싶은글은 넘쳐난다.)그냥 하루하루 “News Fire”:www.newsfirerss.com/ 가 날라주는 지인들의 블로그글들만 겨우 확인하며 버티는 중입니다..
Rss Reader가 별로 였었는데 요즘은 이거만큼 고마운것이 없네요…

블로그 개편중2

흐흐 이번에는 색을 좀 입혀 봤습니다. 간격도 좀 바꾸고;
점점 블로그 다워지나요?
또 만드는 과정 스샷이 올라갑니다.
mydeute.com css 적용과정

body { font:0.8em/1.5 verdana,AppleGothic,’굴림’,’돋움’,gulim,dotum,sans-serif;}
a:link { color:#0F159E;text-decoration:underline; }
a:visited { color:#21576D;text-decoration:none; }
a:hover { color:#4C82C8;text-decoration:underline; }
a:active { color:#4C82C8;text-decoration:underline; }
a:focus { color:#4C82C8;text-decoration:underline; }
#accessibility { float:right; }
#header { clear:both; }
#header h1 { float:left;display:block;font-size:3em;height:1.5em;margin:0;padding:0;}
#nav { float:right;margin:0;padding:0; }
#nav ul li {display:inline;margin:0;padding:0;}
#middle { clear:both; }
#content { float:left;width:70% }
#content p {margin:0;padding:0.4em 0.2em;}
#sidebar { float:right;widht:25%; }
#sidebar ul{ margin:0 0 1em; }
#footer { clear:both; }
#footertext { float:right; }
h2 { font-family:’바탕’,Batang,serif !important;text-decoration;none;font-weight:lighter;letter-spacing:-0.1em;font-size:2.2em; margin:0;padding:0;color:#333333 !imporatant;}
#post h2 a{ color:#333333;text-decoration;none; }

h3 {letter-spacing:-0.1em;font-size:1.4em;margin:0;padding:0; }
div.moreContents { text-indent:0.2em;margin:-0.5em 0 2em; }

블로그 개편중

뭐 이블로그에 오시는분들이야 별로없겠지만 가끔 오셔서 보시는분들에게 좀 이상한 (저는 정말 잘 보인다고 생각했지만…) 화면을 보셨을겁니다…

기존의 디자인이 이쁘긴 했었으나 화면 배색 자체가 어둡고 잘 보이지 않는것 같아 새로 작업을 하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잘 없으므로, 하나 하나 아침에 30분 동안만 작업을 하기로 하고, 심심 풀이로 그 과정을 단계별로 스샷을 찍어 올려볼까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내맘대로 레이아웃 잡기!

사실 이 이후에는 별로 변할것같지는 않습니다=_=;;;;
내맘대로라고 하지만 제일 평범한 레이아웃 입니다.

작업을 진행하면서 제일좋았던것은 semantic markup이었습니다~ 제대로 되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간결한 구조가 맘에 드네요…

CSS 적용과정

참고로 한줄씩 스샷입니다.

body { font:0.8em/1.5 verdana,AppleGothic,’굴림’,’돋움’,gulim,dotum,sans-serif;}
#accessibility { float:right; }
#header { clear:both; }
#header h1 { float:left;display:block; }
#nav { float:right; }
#nav ul li {display:inline;}
#middle { clear:both; }
#content { float:left;width:70%; }
#sidebar { float:right;widht:25%; }
#footer { clear:both; }
#footertext { float:right; }

간단하죠?? 차근차근 하다 보면 그래픽 디자이너들에게도 인정받는 디자인이 나올지도ㅎㅎ
다들 재미있게 해보아요~

인터넷이 빨라서 페이지가 무거워도 된다고?

2006년 6월 현재 인터넷사용자는 3300만명이 넘는다 하고,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는 2006년 11월 현재 1400명이 넘는다 하니 우리나라는 인터넷을 하는 사용자는 대충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봐도 무난 할 것 같습니다.
요즘 뭐 다운로드받을때면 뭐 초당 10메가~ 이런말이 심심치 않게 나오드라구요;(저희집은 1메가 잘 안넘습니다…ㅜ_ㅜ;) 초당 10메가라니;; 홈페이지 하나에 2~3메가 컨텐츠는 금방 로딩할듯 하네요;;;

2001년 처음 이일을 시작했을때는 페이지 사이즈에 대해 민감했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이미지를 짤라서 업로드 하는일도 쉬운일이 아니었거든요…
jpg는 퀄리티를 계속 바꿔가면서 적합하면서 낮은 용량의 이미지를 찾아내고,
GIF는 색을 하나하나 빼가면 용량을 줄였죠;

얼마전에 저희 회사 사이트에 웹폰트를 사용하자라는 의견이 나왔었습니다.
이미 다른 게임 사이트에서 사용되고 있었고(이미 가독성이 떨어진다는이유로 사라지고 있던..) 기본 폰트를 줄였을때 가독성이 좋지않으니 작은 폰트를 쓸때는 웹폰트를 쓰자는거 였습니다. 제가 깊게 관여할 입장도아니고 해서 대충 말했지만 웹폰트의 용량은 큰편이므로 좋은 방법은 아니다.. 라는 정도로 마무리 하고
그분이 예시를 들었던 “”Naver”:http://naver.com/ 의 상품 글자를 봐라! 웹폰트 써도 빠르지 않으냐 그냥 우리도 쓰자”
가 네이버가 웹폰트를 사용하지 않았던것으로 밝혀져 그냥 헤프닝으로 끝났습니다.
요즘은 정말 페이지가 무거워도 그런 큰 문제가 안될까요??

이제 좀 바꿔보자구요. 조금만 신경쓰면 됩니다. 사용자를 좀 더 배려하고, 패킷도 돈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작업할때 좀만 더 염두해 둔다면 훨씬 상쾌한 서핑을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웹접근성 정말 어려워 보이지만 가까운곳에 있습니다. 표준을 지키고 사용자를 배려하는 마음 이것이 웹 접근성이 아닐까 합니다.
웹접근성은 장애자가 다가 아닙니다. 인터넷을 어렵게 하는 환경에서도 가능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