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말 당시에 저는 모 에이전시에서 초대형 사이트의 리뉴얼 프로젝트 진행 했었습니다. 이 사이트는 그 당시에도 IE6 뿐 아니라 IE5.5, IE5,IE4,NS4.7, MAC IE5.2 등등 그당시의 소위 잘나가던 브라우저들을 모두 맞춰야했었던 프로젝트였습니다.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테이블로 사용하긴 했지만 크로스브라우징은 구현하려고 노력을 많이 했던 프로젝트 였습니다.
그런데 사실 제가 다녔던 그회사는 좀 특이했습니다. 크로스 브라우징은 기본으로 해야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진회사였고 제가 첫번째로 다닌 회사가 그 곳이었기 때문에 저는 크로스 브라우징에 대한 생각이 너무 당연 했습니다. 그런데 그다음에 옮긴 두번째 회사에서는 굳이 크로스 브라우징은 클라이언트가 원하지 않으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였습니다.
뭐 알았다고 했지만 이미 몸에 밴 습관(라인을 위한 1*1px 빈이미지, padding margin 트릭등)들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크로스 브라우징이 IE6만 신경쓰는것보다 더 쉬웠을 정도였으니까요. 공수가 많이 드는일도 아니었습니다. 내가 기본이라고 생각하는 범위가 넓으면 넓을수록 내가 얻어가는것과 결과물의 퀄리티는 넓어 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요 몇해사이 웹 접근성 품질마크가 나름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웹 접근성 연구소에 온라인 자문 서비스라는 것이 있는데요. 부족하지만 저도 자문을 조금씩 하고 있는데, 자문을 좀 하다보니 웹 접근성 제고와 방법에 대한 자문 요청이 아닌 NIA에서 시행하는 웹 접근성 품질마크의 기준이나 방법에 대한 자문 요청이 많아 지더라구요. 그만큼 웹 접근성 품질마크가 한국 웹 접근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웹 접근성의 향상을 위한 토론과 문의등을 해야하는 게시판에서 품질마크의 기준에 대해서 문의가 나오는것은 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이 문제는 자문을 요청하는 사람도, 자문을 하는사람도, 그리고 게시판을 관리하는사람 그리고 품질마크를 담당 하는사람 모두에게 조금씩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일단 제가 몇번 얘기했지만 한국의 웹 접근성은 웹 접근성 품질마크가 전부가 아닙니다. 웹 접근성 품질마크는 최소한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웹 사이트를 만들어서 납품하는 분들은(까놓고 말하겠습니다.) 웹 접근성을 고려해 웹 사이트를 만드는것인지 웹 접근성 품질마크를 고려해서 웹 사이트를 만드는것인지 잘모르겠습니다. 대부분의 업체들은 웹 접근성을 고려해 웹 사이트를 만들다 보니 부가적으로 품질마크 획득도 가능했다 정도겠지요:) 정말 이런것이길 바라겠습니다.
서론에서도 말한것과 같은 느낌으로 내가 항상 웹 접근성을 지켜서 웹사이트를 만들것이고 그것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한다면 만들어진 웹페이지의 접근성의 퀄리티는 훨신 좋아 질것이고 쉽게 생각이 들것입니다. 웹 접근성을 고려한 사이트를 만들때 “어느부분까지만 지원하면 되”가 아니라 “이부분도 지원하면 더 좋아져”가 항상 드는 생각이기를 바랍니다.
웹 접근성 품질마크는 언제나 최종목적이 아닌 웹 접근성 구현을 위한 작은 한 단계 또는 부가적으로 얻어지는 작은 선물이라고 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또한 웹 접근성 품질마크측에서도 좀더 능동적인 자세를 보여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자문게시판에 평가 카테고리가 있긴하지만 제 생각에는 품질마크는 별도의 게시판을 따로 구성하여 관리하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너무 영향력이 커져버린 웹 접근성 품질마크이기 때문에, 좀더 능동적이고 개방적인 제도가 되었으면하는 개인적인 바램입니다. 우리나라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해 노력을 많이 해주셨는데 맨날 불평 불만만 말씀드려서 죄송합니다.
자문을하는 저도 좀더 열심히 공부하고 다각도로 생각의 폭을 넓혀서 항상 더 많은 도움을 드릴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제가 아직은 많이 부족하지만 열심히 하는 모습은 보여드릴려고 노력하겠습니다.
올해는 만들어지는 모든 사이트가 웹 접근성은 기본으로 지켜지는 그런 한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