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재택 근무를 오래는 아니지만 일시적으로 진행한 적이 있었고, 비교적 자유로이 회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는 회사에서 경험을 해본적이 있었다. 그리고 현재는 제주라는 특별한 공간에서 살다보니 주변에서 디지털 노마드나 심지어 팀원들도 재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위에 언급한 내가 언급한 회사는 기본적으로 재택을 지원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긴 했다. 우선 전 세계에 직원들이 소재해 있기 때문에 근무 시간을 맞추거나 대면하여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에 대한 중요도가 떨어졌다. 또한 이곳은 내가 해야할 업무를 내가 계획해서 수행하고 그것이 가치 있음을 증명해내야 했다. 이것이 당연한 것 같지만 이것을 제대로 해내는 사람을 난 거의 본적이 없다.(나도 엄청 힘들었었다..)
재택근무는 얼핏보면 공간의 문제인 것 같지만 사실은 시간의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한국에서 회사 생활을 하는것은 아침에 출근해서 일을 하다가 저녁에 퇴근 하는 것을 말하기 때문이다. 아침과 저녁 사이에 회사라는 공간에 있으면서 자연스럽게 나의 자유는 침해 되기 시작한다. 동료나 상사의 눈치도 봐야하기 때문이다.
가정을 해보자… 한사람은 9시 30분으로 정해져 있는 출근시간에 10시30분 즘 출근을 하여 퇴근까지 쉬지않고 일했다. 다른 한사람은 정시에 출근하여 동료들과 티타임을 1시간 정도 진행을 했다. 업무량은 비슷하고 성과도 비슷하다고 하면… 이것에 대해 문제삼지 않아야 정상이 아닐까? 근데 현실에서 보면 그래도 근태는 지키는것이 좋아.. 그건 기본이지 라고 말하는 것을 보게 된다. 아직 한국의 회사는 근(무)태(도)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이런 환경에서 재택이 자리잡기는 쉽지않다.
주변에서 재택을 경험해본 사람들의 이야기를 여러경로로 들어보면 대부분 입장이 비슷하다. 업무 진행이 들쭉날쭉 하다고 불평이다. 그래서 일이 없을때는 개인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 좋은데, 업무가 많을때는 퇴근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힘들다고 한다. 이런 사람은 생각이 단순해서 부럽다. 시간으로 일을 하는 경우가 아직 몸에 배어있기 때문이다. 내가 재택을 할 수 있을까? 라는 고민을 한다면 다음의 경우를 생각해보면 될 것 같다. 회사에서 근무할때 시간 컨트롤이 안되는 경우(예를들면 야근을 한다던가 또는 일이 너무 없어서 자유시간이 많이 생긴다던가)가 많이 발생한다면 재택에 실패할 확률이 높을 것이다.
– 일이 많으면 힘들어서 실패일것이고 일이 없으면 상사가 나를 쳐낼테니까.
시간으로 계속 이야기를 하면 힘들다. 업무의 프레임을 시간이 아닌 가치로 가져와야 난 재택이 좀 더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보는주의다.
이게 난 중요하다고 보는데, 회사에서 월급을 받기 위해 자발적으로 가치를 만들어내어 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해서 그가치를 증명하는사람을 난 거의 본적이 없다. 내가 맡은 일(과제)을 그냥 처리하는것이 대부분이며, 그래도 좀 더 능동적이라면 무엇을 더 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정도가 대부분이었다.
업무의 가치를 시간에서 업무 자체로 변화시킬 수 있다면 좋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