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Design Korea

음 2005년 초 였던것 같아요.. CSS Layout에 대한 관심이 생겨서 혼자 이런저런 공부를 하다가 CSS Design Korea(이하 CDK) 라는 커뮤니티를 알게 되었고… 박수만 님의 실용 예제로 배우는 웹 표준 의 출판 모임에 가서 CDK 분들을 많이 뵈었지요. 집에가는 좌석 버스안에서 우리나라 인터넷 뱅킹과 블로그툴에 대한 전반적이 얘기를 끊임없이 했던 생각이 납니다.

그러면서 질문 글들도 많이 쓰게 되고 제 경험담도 얘기하며 또한 오프모임이라도 있을라치면 가서 밤새 얘기를 하고 듣고 토론하고 즐겁게 보냈던 한해였어요. 우리나라에 충분한 자료가 없는 상황에서 많은 지식을 소유한 사람들과의 만남은 정말 기쁨 그 자체였죠. 사실 웹 표준 얘기보다 블로그 스피어, 애니, 만화책등등 사람사는 얘기가 주였던것 같아요.

CDK를 이끌어가는 많은분들이 대외적인 활동을 많이 하게 되면서 CDK가 안팎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어요. 국내 최대의 웹 표준 커뮤니티라는 수식어도 언제부턴가 따라다니구요.(뭐 더 큰 곳도 더 오래된 곳도 있습니다;; ) 사람이 많아지면서 생기는건 언제나 부작용입니다. 넘쳐나는 질문글에 또한 한 두세달 질문만 하고 쏙 활동을 접어버리시는분들 뭐 오프모임에서도 의견이 분분했어요
CDK 가 웹 표준 지식인도 아니고 이게머냐 뭔가 다른게 필요하다. 뭐 이런 얘기 말이죠.
다들 오래활동한 멤버들이라 CDK에 대한 애정은 각별했던것 같습니다. 그때만해도 따로 운영진 뭐 이런건 없었거든요..

그러다가 술만 먹는 오프가 싫다는 의견들을 수렴하여 웹 표준의 날을 기획을 하게 되었더랍니다. 이 모임은 어설프고 미숙했지만 자발적으로 일어난 언컨퍼런스의 형태에 후원이 없는 이벤트 생 초짜들의 모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00명이 넘게 와주셔서 많은 부분 공감도 하고 의견도 나누고 했던 그런 자리 였던것 같습니다. 물론 불만도 많이 들었죠:) 그후에 비정기적으로 CDK는 오프라인 이벤트를 기획, 진행 하기 시작했습니다. 적어도 제 생각으로는 온라인에서는 지식을 바로바로 얻는다면, 오프라인에서는 공통된 주제를 공유하고 토론해 볼 수 있는 그리고 인맥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였거든요.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었어요. CDK에서 어떤것을 진행한다는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희생을 강요하는것 이기도 했거든요. 자기 먹고 살기 바쁜데 회사일 외적인 일을 하기 쉬운것은 아니겠죠.. 때문에 CDK의 모든 이벤트는 지속적이지 못하는 실망감을 보이기도 하고 있죠.. 얼릉 끊긴 이벤트를 진행해야하는데 정말 부끄러워요..

CDK에 항상 도움을 주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만, CDK일이라면 발벗고 나서주시는 운영진 분들과 항상후원에 주시는 웹 표준 프로젝트분들, 그리고 항상 즐거운 참여와 소통으로 우리에게 힘을 주시는 국내 많은 관련자분들이 있어서 CDK은 살아있다고 말하고 싶어요.

항상 드는 생각은 CDK는 아직 알에서 나오지 못한 병아리의 수준이라고 생각해요. 지금 어떻게든 그 두꺼운 껍질을 깨버리려고 노력하려는 느낌이랄까요?

제가 항상 공지에 사용하는말이있어요 CDK는 여러분의 것입니다 라는말이죠.
자유롭게 얘기하고 때로는 농담도 좀하고, 모르는 사람이라도 즐겁게 대할수있는 그런 편안한 커뮤니티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저는 앞으로도 그렇게 되기위해 노력해볼 참이에요.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CDK가 우리나라의 웹 생태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수 있는날을 기대해 봅니다.

현실과 이상

요즘 제가 제일 많이 듣는 이야기중에 하나는 “당신의 생각 당신이 가지고 있는 웹 표준이라는 생각 나랑은 좀 다른데… 이해하기 힘들어…” 뭐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제가 이야기를 어렵게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도대체 웹 표준이 머길래 어떤 사람들은 열광하며 어떤 사람들은 머하는건지도 모르는 상태가 3년 이상 지속되고 있습니다. 여건이 많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좋은게 좋은거다 라는 방식의 개선이 아니었나.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그래도 모임에 가면 제일 많이 나오는 얘기는 “저희 회사는 웹 표준 인식이 떨어져서 … 어쩌구 저쩌구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이 이야기고, 어느정도 위치에 올라가 있는 사람들은 뼈를깍는 고통을 가지면서 노력한 결과이기도 하죠..
웹 표준하기 정말 힘든가 봅니다. 저도 정말 힘들더라구요. 뭐 제 능력이 딸려서 그런것이겠지만
수년을 자기의 방식대로 작업들을 해왔는데 항상 낮은등급이라고생각했던사람들이 하는얘기를 들으려 하겠어요? 저같아도 귓등으로도 안듣습니다. 그렇게 외부의 인식을 고치는게 어렵습니다.

하지만 우리안에도 큰 문제는 있을것 같아요.
어느샌가 “웹 표준인식의 차이로 웹 퍼블리셔와 기존의 HTML Coder로 나뉘어서 서로다른 계층을을 이룬다”라는 정의까지 보게 되었습니다. 진짜 쓴웃음이 나더라구요. 웹 표준을 잘알면(div로 마크업을 진행하고 CSS layout을 사용하고 크로스 브라우징 좀하면) 웹 퍼블리셔, 테이블로 레이아웃을 만들면 HTML Coder 진짜 이게 말이나 된답니까? 그렇게 자기를 웹 퍼블리셔를 만들면 좀 잘나 보이는 건지 그렇게 얘기하는 사람들의 속내를 잘 모르겠습니다.

예전에 대부분 HTML Coder는 이쪽일에 대한 분위기를 쉬운일을 하면서 배워나가서 서버사이드개발자가 되거나 디자이너가 되거나 그렇게 좀더 발전한(?) 모습으로 되기 위해 지나가는단계? 뭐이런식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을겁니다. 자연히 다른 부분에 비해서 신기술 정보 습득력이나 공부하는시간 진입장벽 뭐 다 낮았었지요…
그런데 지금은 안 그렇지 않습니까? 이 직종만큼 다양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는데도 없을겁니다. 각 직무의 사람들과 무리없이 커뮤니케이션 해야하며, 발전이 늦었던 분야인 만큼 요즘 기술 발전의 속도도 장난 아니구요. 누구나 시작 단계의 일로서 선택 할 수 있는 직종 자체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커뮤니티에 보면 아직도 직종을 옮기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직종을 가지신 분들이 보이더라구요.

우리나라에 HTML, CSS를 전문으로 작업 하는분이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많은분들이 계실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몇몇분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당부하고 싶은것이 있습니다.
공부를 많이 하세요. 그리고 사람들이랑 많은 얘기를 하세요. 실력은 코드로 보여주세요..

날로 먹을 수 있는 대충 시류가 좀 흘러 흘러 나에게도 좋은 세상이 오겠지 하는 사람들이 있을 그런 직종이 아닙니다. 그런분들은 조용히 사라져 주시는것이 더 좋을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사실 저는 운좋게도 좋은 웹 퍼블리셔분들만 봐서 잘 몰랐는데 욕먹어 마땅한 사람들이 요즘들어 많이 보여서 안타까운마음에 글을적어봅니다;(제가봐도 횡설수설…..)

사원증, 명함이 변경되었어요

넥슨의 CI가 바뀌면서 명함과 사원증이 모두 새롭게 변경이 되었어요..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제 사원증 사진이 표정이 이상해서 이번에는 좀 무난한거로 바꿔봤습니다.

명함은 받았는데 25장씩 뒷면의 인쇄가 다르네요…
뭐 별로 감흥은 없습니다. 그렇게 이쁜명함은 아니니까요…
명함 앞면
앞면은 모두똑같은데요.
{{{ 명함 뒷면}}}
뒷면은 조금씩 다 다릅니다.
저는개인적으로 마지막께 가장 좋아요:)

플래시가 당연히 다 깔려 있을까요?

요즘은 다이나믹한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Flash 를 사용해서 페이지를 만드는것이 마치 당연하듯이 많은곳에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플래시 없으면 사이트가 구려 보이나 봅니다. 그래서 그런지 사용자의 컴퓨터에도 대부분 Flash Player Plugin 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뭐 제가 쓰는 컴퓨터들도 마찬가지죠.

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인지는 모르겠지만
‘플래시 플레이어가 대부분 깔려 있어서 플래시를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것은 당연하다. 어짜피 다 깔려 있잖아!’
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적잖게 볼 수 있구요.
스크린리더에서 조차 플래시를 읽어주려고 노력한다니 플래시의 파급력은 참 대단한것 같습니다.

그런데 플래시를 이용해서 컨텐츠를 만드시는 분들 대체 컨텐츠는 제공하십니까?
플래시가 돌아가지 않는 환경이 진짜 없다고 생각하세요?
또한 플래시 플레이어가 버그가 있어서 사용할 수 없다고 느껴보신적은 없으십니까?

플래시는 풍부한 표현력 때문에 용량을 많이 차지합니다. 인터넷이 느리면 보기 힘들어 지기도 합니다. 브라우저는 점점 사용자의 브라우징 커스터 마이징 기능을 많이 제공해 나가고 있는데, 플래시 로드 안하기 이런 옵션이 생길것도 같지 않아요? 모바일에서 플래시 다들 표현해주나요?(잘모릅니다. 힘들것같은데 속도 때문에…) 그래서 플래시가 로딩되지 않았을때의 대체 컨텐츠는 필수 요소 입니다. 조금만 신경쓰면 어렵지않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는 플래시 플레이어 버전 9를 쓰고있습니다.
그런데 firefox에서 플래시로 만든 동영상 재생이 안되던데요? 버전 10으로 업데이트하면 해결된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이럴때 플래시 플레이어가 제공을 안하니 어쩔 수 없지 않느냐 하고 그냥 손놓고 기다리면서 외면할거에요? 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해 주는것이 참된 서비스 제공자의 모습이 아닐까요?

한 업체에서 독점을 하는 플러그인의 경우 버그가 있을때 버그가 수정된 업데이트 버전을 하염없이 기다려야합니다. 또한 플러그인이 알아서 업데이트를 진행해주지도 않구요.(하면큰일이죠; )
저만해도 아직 플래시 플레이어를 업데이트안하는데 업데이트 한사람이 많을까요?

저런 이유들 때문에 대체 컨텐츠는 필요합니다. 고작 작은 플러그인 하나로 서비스를 포기하지마세요. 플래시를 좋게 사용하고 그에 대한 대체 컨텐츠를 잘 지원한다면 웹은 좀더 풍성하게 될것같아요

닥치고 웹 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