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접근성… 평가 받고 인증 받는 시대는 지났다.

오늘 한국정보화진흥원 산하의 웹 접근성 연구소에서 하나의 공지사항이 올라왔다. 그동안 진행하던 웹 접근성 품질 마크 사업을 종료한다는 내용인데..

그 근거는 5월22일에 개정된 국가정보화기본법의 32조 2의 일련의 내용들을 근거로 삼고있다. 우선 2007년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꾸준히 웹 접근성의 인식 제고를 위해 수고해 주신 관계자분들에게 정말 큰 고마움을 느낀다. 우리나라에 웹 접근성 품질마크가 없었다면 이만큼 웹 접근성의 인식이 넓어지고, 보편화되지 못했을거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물론 웹 접근성 품질마크 제도가 없었다면 Pajet도 안나왔을거라 농담을 한적도 있었다. 지금이야 일반적이지만 말이지…

웹 접근성 품질마크의 순기능은 너무 많아서 말할필요도 없지만, 난 오늘 좀 부작용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웹 접근성 품질마크가 진행되면서 기타 장애인 단체나 각종 업체를 통한 웹 접근성 관련 인증 마크가 난무하는 시대가 되었다. 지금 현재까지 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웹 접근성 관련 인증 마크는 6~7인것으로 알고있다. 사람이 일을 하는데 언제나 필요한것은 비용이고 그 인증업체들은 최소한의 비용 받아가면서 인증제도를 운영한것으로 알고있다. 물론 정부관련기관인 정보화 진흥원의 품질 마크는 무료로 진행이 되었었고, 현재는 인증 심사비를 받고 있다.

인증심사비가 발생되는것은 문제가 되지않는다.(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그리 큰 돈도 아니고) 다만 이권이라는게 생기면 순수한 생각말고도 뭔가 이물질이 끼어 든다고 했던가… 웹 사이트를 만들어주고 그자리에서 웹 접근성 인증을 줘버리거나 인증 마크를 받으려면 컨설팅을 꼭 받아야 한다던가 하는 인증제도를 가지고 돈달라고 협박하는걸로 보이니 말이지(이런업체가 많지는않겠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아마 법령이 바뀐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잃어버린 몇년은 다시 돌아오지않는다. 웹 접근성하는 놈들은 다 사기꾼이라는 말은 나도 들어봤다. (난 물론 사기꾼은 맞지만 그날은 한마디도 안했는데도 사기꾼이란 말을 들었단 말이지!!!!) 웹 접근성이 가지는 브랜드에 부정적인 면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두번째는 웹 접근성 품질마크의 신뢰도가 완벽하지 않은것이 문제가 된다. 물론 웹 접근성의 준수사항을 누가 완벽하게 체크할 수 있을것 인가? 절대 그럴수 없다. 처음 웹 접근성 품질 마크가 생길 당시에는 한국에 웹 접근성을 지키는 사이트가 그렇게 많지 않았다. 그래서 오류를 뽑아내기도 컨설팅하기에도 편했다. 그러나 웹은 그동안 많은 발전을 했다. 애매한 부분도 많이 생기고 판단이 어려운부분도 많이 생겼을것이다. 물론 지속적으로 심사기준은 개선이 되었겠지만 그 다음은 폭발적으로 신청이 들어오는탓에 인증에 대한 퀄리티가 보장되지않는것이 문제였다. 어떤때는 업계에서 도는 소문이 ‘품질마크의 신뢰도가 높지않다. 평가자에 따라 복불복같다’ 라는 소문이 있었기도 했다. 뭐 지금은 많은 관계자들의 노력으로 신뢰도가 지속적으로 좋아지는것으로 알고있다.

세번째는 웹 접근성 자체가 인증과 뜻을 지속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가에 대한 부분이다. 접근성은 난 개인적으로 최선의 답을 하나 찾으면 그걸 넘어서는 답을 지속적으로 찾아야 하는 즉 더 좋은 방법이 무엇인가를 끝없이 생각해내고 찾아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일련의 정답을 가지고 평가를 하는 방식인 인증제도에서는 더 좋은 방법을 하려는 시도를 더 격려하고 칭찬할 방법이 없다. 물론 많은 웹 접근성 전문가들이 ‘웹 접근성 품질마크는 최소한이다’  이라고 외치고 다녔지만 그게 뭐 얼마나 먹히겠는가? 웹 접근성이 우리나라에 도입되던 시기에는 물론 필요한부분이었겠지만 어느정도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넓어진 지금에 상황에서(이게 아직 멀었다고 생각한다면 할말없다;) 인증제도가 존재할 필요가 있을까? 라는 고민에 빠지게 된다. 차라리 웹 접근성 BEST콘테스트 같은걸 하는게 더 도움되지 않을까?

법은 만들어졌고, 웹 접근성을 고려한 사이트도 많이 늘었다. 1000개에 가까운 수의 사이트가 품질마크를 받았다. 웹 접근성을 알고있는사람도 늘고 결론적으로 웹 접근성에 대해서 환경과 양적성장을 지속적으로 지금까지 해왔다고 생각한다. 그 중에 웹접근성 품질마크가 큰 몫을 했다고 생각하고, 양적성장을 했다면, 이제는 질적성장을 할때가 아닐까? 시험보기 위한 공부가 아니라 더 좋은 나를 위해 공부를 하면 안될까?

Devon 웹 접근성 컨설팅 부스 준비 중

국내 최고의 개발자 행사인 Devon이 올해에도 10월 26,27일간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그동안 진행된 Devon의 최고의 장점으로는 국내 개발관련 커뮤니티의 꾸준한참여와 그것을 전폭적으로 밀어주는 다음의 마인드가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내가 다음서비스에 속해 있다고 다음찬양하는거가 아니라는것은 알지?)

국내 개발자 커뮤니티는 상당한 잠재력과 힘을 가지고 있다. 일단 구성원의 퀄리티가 꽤나 좋고, 회사에 속한입장이 아니기 때문에 특유의 공정함을 유지하기도 한다. 그것을 다음이 잘 활용해보려는 생각인지 디브온이 진행되면 될수록 커뮤니티 참여의 비율은 점점 높아지는 느낌이다.

다음 내부에서도 동등한 입장에서 부스를 만들고 참여를 진행한다. 이것이 매력이 아닐까…

매년 CDK의 이름으로 행사에 참여를 했는데 이번에는 다음 측의 부스에도 살짝 발을 담구게 되었다
다음서비스의 TX센터 접근성파트에서 접근성 컨설팅 부스를 마련했다고 해서 참여를 하게 되었다.

실제로 여기저기 특히 웹 접근성에 대해 강의도 많이 존재하고 컨설팅 업체도 많이 생겨나고 있지만, 대부분 큰 비용이 들거나 어떤경우에서는 컨설팅 자체의 신뢰도가 의심되기도 한다.

그러나 다음에서 제공하는 컨설팅 서비스는 다르다고 볼 수 있다.(그렇다 광고다 풉;) 일단 무료로 진행될것이고, 다음내에서 실제로 적용되는 접근성 검증 프로세스를 미리 보여주고, 간략한보고서를 작성해 제공함으로서 밥을 먹여주는것이 아닌 밥을 먹는 방법을 알려주고 싶은의도로 컨설팅의 목표를 세운것으로 알고있다.
또한 다음 포털의 접근성 프로세스를 그대로 적용해주는것이니 신뢰도 또한 당연히 좋지 않겠는가?

이번에 많은 업체에게 컨설팅의 기회를 주고싶을것이지만, 분명히 이틀이라는 시간내에 정말 많은 내용의 컨설팅을 힘들것으로 본다.
이번을 기회삼아 다음에서 지속적으로 재능 기부를 기대해 볼 수 있을것이다.

다음의 접근성 컨설팅 부스 외에도 CDK에서는 CSS 한줄 추가하기 행사가 마련되어있다. 한사람 한사람의CSS가 모여서 사이트의 디자인이 되어가는 모습을 구경할 수 있다.

KWAG에서는 전문가의 접근성 상담과, 보조기기 시연이 예정되어있다고 한다. 참으로 유익한 시간이 될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다룸에서 소개하는 내용을 보자 두번 보자

디브온에서 컨설팅을 받으려면 미리 컨설팅신청과 물론 디브온도 신청해야한다. 신청하자 완료한 신청도다시 확인하자

구글 리더 종료

매일 나의 하루를 시작시켜주던 RSS reader인 google reader가 종료 된다고 한다. 이유는 사용자 감소라고 하는데, 참으로 안타깝다.
오랫동안 7월1일부터 서비스 종료한다고 알려주고 있었지만 아니길 바랬는데… 종료되고 말았다.

내가 블로그를 시작할때만 해도 수많은 블로그가 존재했고 수많은 정보가 블로그를 통해서 공유되고, 난 또 그 수많은 글들을 보면서 공부할 수 있었다.

내가 직업으로 삼고 있는 웹 표준 관련도 블로그에서 많은 정보들을 익힐 수 있었다.
한국어로 배포하는 수많은 블로그도 있었는데… 세미나 한번하면 세미나 후기들이 블로그를 통해서 수 없이 배포되던적도 있었는데…
요즘은 웹 표준 하는 사람중에 블로그를 쓰는 사람은 많이 줄어들었다. 남탓 할 필요없지 뭐.. 나도 별로 안쓰는걸…

암튼 구글리더가 종료되면서 난 별도의 서비스를 찾아야했고… 요즘 업무와 서핑을 거의 대부분 맥북에어를 하고있어서, 이리저리 찾아보다가 shrook이라는 툴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웹인터페이스도 아니고 구글리더보다 사용성도 떨어진다. 어떤 부분이 사용성이 떨어지는지 딱히 생각나지않는것을 보면… 내가 구글리더에 그만큼 익숙해졌는지도…

이 글을 보는 사람이 있다면, 그리고 RSS Reader를 사용하고 있다면, 추천좀 해주시길

내가 일하는 직군의 이름이 그렇게도 중요한가?

내가 무슨일을 하는지는 여기 들어오는 사람이면 대충 알거고
이쪽 직군에서 수 년째 결론이 나지 않은채로 어떤 것이 맞는지 논의만 되고 있는 문제가 하나 있다면, 내가 일하고 있는 직군에 이름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 일것이다.

오늘 Kipfa라는 단체에서 Frontend Developer Ability Test를 만들어서 진행하려고 공개를 한 모양이다.
의도도 좋고 뭐 내가 남 돈버는데 왈가왈부 할건 아니지만,

자기네 마음대로, 지금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직군명을 정리를 해버렸네, 그것도 말도 안되게?
그들의 정의대로 하면 프론트엔드 디벨로퍼의 습득요구지식은 HTML, CSS, 웹표준, 웹접근성, Javascript, UX/UI, 웹 사이트 최적화 정도이고, 웹 퍼블리셔는 “HTML, CSS, 웹표준, 웹접근성, Javascript” 정도 라고 한다. 또한 HTML coder는 습득지식이 “HTML, CSS” 라고 한다는데…
그들이 말하는데로 이해해 보자면 front-end 업무 직군은 무슨 전직 시스템인가보다. 기술 탑재하고 레벨업하면 1차전직, 2차전직 뭐 이런식으로 말이지…

물론 현재 직군에 가장 잘 어울리는 말을 정하기가 쉽지 않은것 이라는 것도 알고 있고, 사람들이 대체적으로 어떤 직군명을 선호하는것도 알기는 아는데…
그리고 뭐 사업하는 사람들이야 자기가 쓰고 싶은말을 강조하고 싶겠지만, 저 내용을 감수하고 출제한 위원님들은 자기네들이 무슨 짓을 하고 있는것 인지는 알고있나?
외국에서 front-end developer라고 하니 그냥 그게 맞다고 생각하는건가? 외국에서는 사용하는 웹 개발자의 정의와 우리가 사용하는 웹 개발자의 범위가 어떻게 다른지는 알고는 있는건가?

웹 퍼블리셔, 웹 UI개발자 모두 많은 고민에서 나온 용어임을 잊지 말자. 그냥 단계의 하나로 치부할 용어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나도 직군명이 그냥 하나로 통합되면 좋겠다. 그래야 말하기 편하니까..
그러나 내가 일하고 있는 직군의 명칭이 front-end developer라 불리우든, html coder든 웹 퍼블리셔든 중요한게 아니다. 단계로 나눌 필요는 더더욱 없고…
html, CSS만 할줄 아는 사람도 html,css 외에도 다른 스킬을 가졌어도, 그냥 우리는 같은 일을 하는 사람이고 같은 직군의 동료이다.
넌 웹퍼블리셔지만 난 프론트엔드개발자라고 너랑 나랑은 다른 직군의 사람! 이럴것이 아니다.

중요한건 내가 일하는 것에 대한 직군명, 내 직함, 그리고 보유스킬이 아니라 웹을 바라보는 관점 그리고 웹을 얼마나 사랑하는가, 그리고 웹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다.(뭐 물론 돈 벌려는 의지도 중요하지…)
웹을 사랑하고 접근하는 만큼 실력과 보유 스킬은 늘게 되어있다.

SVN의 commit은 FTP upload가 아니다.

넥슨이라는곳에 입사를 했을때 결과물에 대한 파일 전달을 FTP의 특정 서버나 사내 공유폴더에 업로드하는것이 아닌 CVS라는 툴을 통해서 업로드 해야한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그때는 정말 결과물 업로드의 용도로만 알고 있었기 때문에 왜 내가 내손으로 작업할걸 업로드하는데 log comment등을 같이 작성해야하는지 몰랐다. CVS가 스타크래프트의 SCV처럼 뭔가를 운반하는 의미로 상통하지 않을까 이런 또라이 같은 생각을 하기도 했다. 좀 지나고 CVS가 버전 관리툴이라는것을 알게 되었고 난 좀 감동했다. ‘그럼 작업하다가 잘못 업로드 한게 있어도 이전 버전으로 돌릴 수 있는것이 아닌가!!!’ 라면서 감동했고 좀 더 자유롭게 좀 더 내맘대로 작업을 해볼 수 있는 기회도 생겼었다. 물론 남들의 작업 로그를 보면서 공부를 하기도 했다. 그때는 그냥 일하다 시간이 남아서 다른 팀원들의 각종 코드나 로그를 보는것이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내가 지금까지 일해 오면서 버틸 수 있는 원동력이 거기서 비롯된것같다.

시간이 지나면서 난 CVS, SVN, Mercurial를 겪게 되었고 수많은 conflict와 merge를 겪으면서 내 자신도 성장했을거다 아마;;;;
넥슨에서는 commit log를 남길때 내가 이 commit을 하는 목적과 이유에 대해서 분명히 작성하는걸 규칙으로 세웠다. 그 덕분에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기가 더욱 쉬웠고, 담당자가 바뀌어도 인수 인계 절차가 간소화 될 수 있었다.
오페라에서는 더욱 그랬다. 오페라는 Bug tracking System으로 JIRA를 쓰고 있었고 그곳에서는 JIRA의 bug number나, Task number를 commit log 작성시에 포함하여 연동시키는 방법을 쓰고 있었다. 실제 내가 회사를 떠나도 내가 짠 코드와 내가 기록한 로그들은 남아있을것이다. 내가 만든 코드를 고칠 경우나 분석 할 일이 있을 때, 퇴사한 나에게 전화를 하지 않아도 되는점이라고 해야할까? 그렇게 나는 버전관리도구에 익숙해져갔다.

오페라를 관두고 잠깐 일을 하던 회사가 있었는데 그곳도 분명히 SVN을 사용하는 회사였다. 아 그럼 로그들을 보면서 내가 히스토리를 파악하면 되겠구나 생각했는데, 이게 웬걸? commit log의 절반 이상이 “.”이었다. 어느 정도 정보를 기록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그 마저도 적절한 log는 아니었다. 이곳은 SVN에 커밋을 하면 특정 테스트 웹 서버에 동기화되어 웹에서 확인 가능한 상태가 되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그 URL을 협업하는 담당자에게 공유하는 방식이었다.  왜 log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는가? 라고 물었더니… 대부분의 대답은

“어짜피 이 작업은 나만 하지 이걸 누가 본다고?”는 것이었다… 충격적이었다.
난 다시 물었다. 만약에 담당자가 바뀌면 어쩔것인가? 라는 질문을 했고 안 바꾸면 되지 와 그러기 위해 인수인계가 있는거다. 라는 답이 돌아왔다.
어안이 벙벙해서 SVN담당자와 팀장에게 따지듯이 물었다. 근데 이 두 사람은 이 이상한 상황을 개선하려고 엄청 노력을 했다는것이었다.
대부분 SVN은 테스트 서버에 파일을 올리기 위한 용도로 쓰는상황에서, 난 commit log를 의미있게 입력하게끔 만들고 싶었다.

불편하지만 commit log를 작성하는 규칙을 만들었고, 따르기를 바랬다.

그러다 한서비스만 4~5년 맡아서 진행하는 동료의 프로젝트에 내가 추가로 애드온을 작성할일이 생겼다. 난 그냥 아무 생각없이 작업을 했는데 페이지 레이아웃이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했고, 원인을 찾아서 쓸데없는 CSS코드가 삽입되어 있음을 찾아냈다. 내 입장에서야 쓸데없지만 담당자에게는 중요한 코드니까 넣었겠지라고 생각하며 물어봤는데, 그 코드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절대 지울수 없다고 한다. 그래서 반대로 해당 이슈에 대해 물어봤고, 그런 이슈는 듣도 보도 못했다는것; 결국 SVN에서 그 쓸데없는 CSS파일을 업로드한 시점을 찾았고 거기에는 당연히 commit log가 “.” 되어 있었다. 물어봐도 당연히 답이 안나왔다.
commit log가 조금이라도 작성이 되었으면 나중에 귀찮지 않았을것이다.
현재 자신이 작업하는 것이 혼자 버전관리를 한다고 해도 작업에 대한 로그는 남겨져야 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버전관리툴은 결과물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툴이 아니다 =_=

버전관리는 사용하면서 파일을 날짜별로 분기하는곳도 있다. 파일안에 보면 주석으로 변경사항을 기록한다. 버전관리는 왜 쓰는지 모르겠다.  예전의 파일에서 문제점이 생겨서 왜 이런 문제가 생겼는지 찾아보려고 해도 절대 답이 나오지않는다. 사람의 기억에 의존한다. 배포되는 파일과 작업하는 파일의 위치가 다르게 존재하고 작업하는 사람의 리비전과 배포하는사람의 리비전은 별도로 존재한다. 그 사이에 어떤 수정을 가하는지 알 수가 없다. 알 수 없기 때문에 추가 작업은 결과물에서 파일을 다운받아 작업한다. 버전관리가 될리없다. 버전관리의 최대장점이 여러사람이 작업하고 그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는것인데, 그게 안된다.

버전관리 주기도 엄청 중요하고 내 개인적인 기준으로는  최소한의 태스크로 구분을 하는편인데… 위의 상황에서 이런게 강조되는게 맞는가 싶다.

닥치고 웹 표준